로고

[발행인칼럼]개혁신당 이준석, 화성시를 정쟁판으로

편집부 | 기사입력 2024/09/19 [08:55]

[발행인칼럼]개혁신당 이준석, 화성시를 정쟁판으로

편집부 | 입력 : 2024/09/19 [08:55]

명분보다 실질적인 지역 학생 혜택이 우선 되어야!!

 

 서승원 발행인 © 투데이경인


지난 12일 화성시의회에서 전성균의원의 대표 발의로 “화성시 과학고등학교 설립 지지결의안 ”이 채택됬다. 찬반투표결과 재적인원 25명중 찬성 14표, 반대 5표,기권 5표로 “가결”됬다. 배현경,장철규,위영란,유재호,이해남이 반대했고, 김상균,김영수,이계철,이용운,이은진이 기권했으며, 배정수,정흥범등은 찬성했다.

 

이 결과표를 이준석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정게시물로 올렸다.“ 반대하신 일부 민주당 시의원들은 혹시 과학고와 수월성 교육을 반대한다는 이념 때문이라면 안타까운 선택을 하셨습니다 ” 란 말과 과학고의 명분을 “이념에 경도된 교육관을 심판받을 것이다”라며 이공계를 위한 발언으로 시민들에게 호도하는 글로 올렸다. 댓글등을 통해 화성시의회와 의원들간에 분란이 조장되고 있다.

 

과학고는 전국단위로 선발이 이루어지는 특목고로 우리지역에 위치한다고 해서 지역학생들에게만 우선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우리지역학생들이 과연 몇 명이나 입학할수 있을지 의문을 갖는 부모들이 많다. 과학고가 들어선다고 해서 반드시 “지역인재 양성”에 도움이 될지는 더 많은 논의와 분석이 필요하다.

 

학교가 지역사회와 얼마나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실질적인 교육혜택이 지역 학생들에게 돌아갈지에 대한 고민이 우선 필요하다. 과학고 설립이 단순히 “지역발전”이라는 명분만으로 추진되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지역학생들이 충분이 그 기회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럼에도 이를 악용하여 여론몰이 하는 모습은 아이를 학교에 보내보지 못한 정치인들의 민낮이며 한계일 것이다.

 

실질적인 내용을 살펴 보기전에 다가온 지방선거를 준비하듯 시의회를 정쟁판으로 키우고 있다. 시민들만 바라봐도 정신없이 바쁜 시의원들을 “이슈에 대한 이분법”으로 정치 전쟁터로 끌어들이고 있다. 또한, 시민들까지 정쟁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홍보하며 마케팅하고 있다, 시민들 스스로가 냉철한 분석으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시민들은 종합예술고등학교를 원하고 있다. 문화와 과학까지 포용하는 종합예술학교가 필요하다. 특례시의 위상에 맞는 교육정책적 행보가 필요하다. 맥켄지 보고서에서 세계부자 10대 도시에 들어갔다고 말했듯이, 화성특례시의 경쟁자는 세계적인 도시들이다. 세계적인 도시들과 견줄수 있는 문화의 도시로 만들어야한다. 화성시의 문화가 세계에서도 인정받을수 있는 장기적인 교육정책을 만들어야 도약할수 있다. 대한민국 특례시 중에서도 화성만의 문화를 만들어야한다. 지역의 범주에서 벗어나 화성의 문화가 세계의 문화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화성시를 만들 수 있는 큰 그림의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화성시과학고 #이준석 #전성균 #화성시의회 #종합예술고등학교 #멕켄지 #교육정책 #경기도과학고 #경기도특목고 #경기도예고 #화성특레시 #화성시동탄과학고 #동탄특목고 #이준석공약 #개혁신당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 JOHN 2024/09/19 [14:52] 수정 | 삭제
  • 과학고보다는 다양성을 가진 예술고가 더 나을것 같아요... 다른시에도 과학고는 있지만 특정학샹들을위한 학교가 되다보니 학교가 발전보다는 제자리인듯합니다. 하지만 예고는 나날이 발전을하고 있고 명성을 이어나가고 있지요.. 분당만 봐도 알수있듯이.. 동탄에서 아예 이사를 갑니다..예고를 가기위해서... 100만특례시가 있는 도시에 예고가 없는건..아이러니 합니다.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